-
반응형
개인신용평가 대응권 정의, 신청방법, 금리인하요구권
이번 주부터 온라인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서 개인 신용평가 대응권이라는 것을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대사회에서는 신용점수가 내 얼굴이자 명함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신용평가회사별로 평가 기준이 일정하지 않아서 내 신용 점수가 실제로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신용점수는 은행의 대출이자금리를 결정하고, 기존 대출금리를 낮추는 등 금융 거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본인의 신용점수와 그에 반영된 항목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요즘은 카카오페이, 토스앱, 은행 앱 등에서 신용평가회사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신용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으로는 내 신용점수에 반영된 항목이나 불리한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본인이 간단하게 온라인으로 신청하여 신용점수에 반영된 항목과 불리한 내용 등을 직접 확인하고 이의 제기까지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개인신용평가 대응권
2020년 8월부터 개인 신용평가 회사들의 내 신용 점수 평가 결과에 대해 어떤 이유로 점수를 매겼는지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거나 결과에 대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권리를 소비자에게 부여하는 개인 신용평가 대응권이라는 제도가 신용정보법으로써 생겼습니다.
하지만 팩스와 이메일로만 신청이 가능했고 제대로 된 홍보를 하지 않아서 은행 직원들조차도 대부분 모르고 있었습니다. 실제 지난 3년 동안이 제도를 이용한 사람이 전 국민 중에 한 자리 수밖에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랬던 "신용평가 대응권" 이 이번 주부터는 온라인 홈페이지나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도 간단하게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신청 방법
신용평가회사의 홈페이지나 앱에서 개인 신용평가 대응권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은 신용평가 회사의 홈페이지나 앱에서 설치하셔도 되지만 그냥 스마트폰이든 PC든 검색창에 "나이스 지킴이" 를 검색하셔서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할 수 있습니다.
1. 메뉴창 ▷ 미소지는 데이터 생활 ▷ 소비자 보호 ▷ 페이지 하단▷자동화 평가 결과 설명 요구 에서 신청
2. 로그인창(네이버, 카카오) 둘중 하나 선택해서 본인 명의 휴대폰으로 인증후에 로그인 할 수 있습니다.
3. 자동화평가결과 설명요구 온라인 신청 클릭
4. 신청완료 ▷ 3일후 자동화 평가결과 설명요구 내역확인을 통해 자세한 정보를 열람할수 있습니다.
보통 연체가 있었다면 연체 정보를 비롯해서 신용카드를 새로 만들었다거나 부채수준, 신용거래의 패턴,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등의 성실 납부 실적 등이 나옵니다.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니고 컴퓨터가 기계적으로 점수를 매기기 때문에 신용점수에 이의가 있다면 바로 결과에서 이의신청까지 하실 수 있습니다.
점수를 산출할 때 긍정 평가로 작용된 요인과 부정평가로 작용된 요인의 산출 근거를 볼 수 있고 자동화평가의 평가 요소와 활용 비중이 나와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에서는 어떤 정보를 이용했는지에 대해서 항목별로 나오고 신용점수의 이의가 있다면 잘못된 내용 정정을 내용 정정 사유 등을 입력해서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코리아크레딧뷰로, SCI평가정보에서도 비슷한 방법으오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금리인하 요구권
신용대출 금리 뿐만 아니라 주택담보 대출금리까지 대출금리로 인해 요새 많은 분들이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있는데, 금리인하 요구권에 본인의 신용점수가 많이 오른 경우도 해당하기 때문에 금리인하 요구권을 행사해서 대출 이자를 줄일 수 있습니다.
금리인하 요구도 마찬가지로 각 은행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무조건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지만 오늘 소개해드린 개인신용평가 대응권 신청하시면서 내 신용 점수 에 관심을 더 가져 보시고 과거에 비해 신용점수가 많이 올랐다면 금리인화 요구권도 일단은 신청해 보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금리가 오른 이 어려운 때에 위와 같은 정책을 잘 활용하셔서 대출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여 보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알면 돈버는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핫이슈 ) 이브이첨단소재에 대해서 파헤쳐보자 (0) 2023.04.20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시행목적, 자격요건, 신청방법, 제출서류, 지급일정, 주의사항) (0) 2023.04.12 햇살론 유스 모든것 (소개, 대출조건, 대출한도, 대출금리 및 보증료율, 상환기간, 취급은행, 대출방법, 주의사항) (0) 2023.04.07 국민을 위한 2023년 새로운 금융정책 2가지 ( 비정상 거쳐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 특례 보금자리론 ) (0) 2023.04.06 한국토지주택공사 (LH) 분양 및 임대주택 종류와 변경내용 (0) 2023.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