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5. 10.

    by. siello

    반응형

    생각정리스킬은 복주환 작가가 쓴 자기계발서로, ‘명쾌하게 생각하고 정리하고 말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생각정리는 두뇌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을 높이며, 스트레스를 줄여줍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각정리의 원리와 방법을 제대로 배우지 못했습니다. 이 책은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으며, 업무·학업·일상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생각정리 도구들을 제시합니다.

    생각정리스킬 줄거리 요약

    1장

    생각정리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 설명합니다. 생각정리는 두뇌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을 높이며, 스트레스를 줄여줍니다. 생각정리의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를 들어보고, 생각정리의 5가지 사이클을 알아봅니다.

     

    2장

    생각정리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생각정리는 목적과 상황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고 활용하는 것입니다. 생각정리의 3단계 프로세스(생각정리·생각설계·생각표현)를 알아봅니다. 생각정리의 원칙과 팁을 배웁니다.

     

    3장

    생각정리라는 주제로 머릿속을 심플하게 정리해줄 만다라트, 마인드맵, 디지털 마인드맵, 3의 로직트리를 소개합니다. 이들은 방사형 구조로 표현하고, 약도를 그리듯 꼬리에 꼬리를 물고 생각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각 도구의 장단점과 활용방법을 알아봅니다.

     

    4장

    아이디어 기획에 도움이 되는 브레인스토밍, 브레인라이팅, 퀘스천맵을 소개합니다. 이들은 여러 사람이 모여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회의기법이거나, 조용하게 종이에 생각을 적어나가며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방법입니다. 각 도구의 장단점과 활용방법을 알아봅니다.

     

    5장

    독서정리에 도움이 되는 독서페이퍼와 독서리스트를 소개합니다. 이들은 책을 읽고 핵심 내용과 감상을 정리하거나, 읽고 싶은 책을 선별하고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각 도구의 장단점과 활용방법을 알아봅니다.

     

    6장

    생각정리스피치 5단계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는 스피치의 목적과 대상을 분석하고, 스피치 구조와 내용을 설계하고, 스피치 자료와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스피치 연습과 발표를 하는 과정입니다. 각 단계별로 필요한 도구와 팁을 배웁니다.

     

    7장

    인생을 변화시키는 일기쓰기, 인생그래프, 버킷리스트를 다룹니다. 이들은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되돌아보고, 미래의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방법입니다. 각 도구의 장단점과 활용방법을 알아봅니다.

    생각정리스킬을 읽고 느낀점

    이 책은 생각정리스킬에 입문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유용한 책입니다. 저자는 다양한 생각정리 도구를 소개하면서 실제 사례와 팁을 공유해줍니다.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정리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저자는 생각정리의 3단계 프로세스와 원칙을 설명하고, 각 단계별로 필요한 도구와 팁을 제공합니다.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자신의 목적과 상황에 맞는 도구를 선택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실제로 적용해보는 데 도움이 되는 책이었습니다. 저자는 업무·학업·일상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생각정리 도구 13가지를 제시합니다.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생각정리스킬을 활용할수 있어서 너무 좋았던거 같습니다.

    생각정리스킬 인상적인 문구

    “생각정리란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생각을 명확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생각정리를 잘하면 두뇌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을 높이며,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p.15)

     

    “생각정리는 목적과 상황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도구란 생각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호나 그림, 표 등의 방식을 말한다.” (p.43)

     

    “생각정리의 3단계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생각정리이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생각을 구체화하고 정돈한다. 두 번째 단계는 생각설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의 생각을 체계화하고 구조화한다. 세 번째 단계는 생각표현이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공유한다.” (p.44)

     

    “만다라트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9칸에 나눠서 작성하는 방법이다. 중앙에 목표를 적고, 그 주변에 왜(Why), 어떻게(How), 무엇(What), 언제(When), 어디서(Where), 누구와(Who) 등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적는다.”(p.67)

     

    “3의 로직트리는 3개씩 나눠서 생각하는 방법이다. 주제를 3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을 다시 3개씩 나눈다. 이렇게 반복하면서 계층적으로 생각을 정리한다.” (p.97)

    반응형